NTP(Network Time Protocol)는 인터넷상의 시간을 정확하게 유지시켜 주기 위한 통신망 시간 규약이다.
라디오나 원자시계에 맞추어 시간을 조정하며 밀리초 1/1000초 단위까지 시간을 맞출 수 있다.
> NTP 설치
#yum install ntp
> NTP 설정
#vi /etc/ntp.conf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| # Use public servers from the pool.ntp.org project. |
| # Please consider joining the pool (http://www.pool.ntp.org/join.html). |
| server 0.centos.pool.ntp.org iburst |
| server 1.centos.pool.ntp.org iburst |
| server 2.centos.pool.ntp.org iburst |
| server 3.centos.pool.ntp.org iburst |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server 부분 주석처리후 원하는 주소로 설정
RHEL 6.x
> NTP 서비스 등록
#chkconfig ntpd on
> NTP 서비스 등록 확인
#chkconfig --list | grep ntpd
> NTP 서비스 실행
#/etc/init.d/ntpd start
#service ntpd start
> NTP 확인
#ntpq -p
- * : 현재 sync 를 받고 있음을 의미
- + : ntp 알고리즘에 의해 접속은 가능하지만 sync 를 하고 있지는 않음을 의미
- - : ntp 알고리즘에 의해 접속은 가능하지만 sync 가능 리스트에서 제외
- blank : 접속이 불가능함을 의미
RHEL 7.x
> NTP 서비스 등록
#systemctl enable ntpd
#systemctl enable --now ntpd (--now를 붙임으로써 NTP 자동 재시작과 NTP서비스 기동을 한번에 가능)
> NTP 서비스 등록 확인
#systemctl status ntpd
> NTP 서비스 실행
#systemctl start ntpd
#/etc/init.d/ntpd start
#service ntpd start
> NTP 확인
#ntpq -p
- * : 현재 sync 를 받고 있음을 의미
- + : ntp 알고리즘에 의해 접속은 가능하지만 sync 를 하고 있지는 않음을 의미
- - : ntp 알고리즘에 의해 접속은 가능하지만 sync 가능 리스트에서 제외
- blank : 접속이 불가능함을 의미
remote는 sync 를 하는 straum 2 서버주소를 가리키며, refid는 각 straum 2 서버가 현재 sync 를 하고 있는 straum 1 서버를 보여준다. st가 16일 경우 해당 서버에 접속 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.
'IT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vsftp 포트변경 (0) | 2021.01.04 |
---|---|
Linux 기본 디렉토리 설명 (0) | 2021.01.03 |
NTP minpoll, maxpoll 옵션 설정 (0) | 2021.01.03 |
Linux 종료 시간 변경 (0) | 2020.12.31 |
NTP 이기종간 동기화(Linux-Windows) (0) | 2020.12.30 |